엑셀 함수 및 예제

엑셀 함수 및 예제 DATEDIF 함수

joy-taei 2025. 5. 22. 10:11
반응형

엑셀의 DATEDIF 함수는 두 날짜 사이의 차이를 일(day), 월(month), 년(year) 단위로 계산할 때 사용하는 숨겨진 함수입니다. 함수 목록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정상 작동합니다.


📌 함수 형식

=DATEDIF(start_date, end_date, unit)

🔹 인수 설명

  • start_date: 시작 날짜
  • end_date: 종료 날짜
  • unit: 차이를 계산할 단위 (텍스트 형식으로 입력해야 함: "Y", "M", "D" 등)

✅ 주요 단위(unit) 종류

단위 설명 예시 결과 (2020-01-01 ~ 2024-05-22)

"Y" 전체 년수 차이만 계산 4 (2020 → 2024)
"M" 전체 월수 차이 계산 52 (4년 4개월 = 52개월)
"D" 전체 일수 차이 계산 1603
"MD" 일(day)만 비교 (월/년 무시) 21 (1일 → 22일)
"YM" 월(month)만 비교 (년 무시) 4 (1월 → 5월)
"YD" 일수만 비교 (년 무시) 142 (1월 1일 → 5월 22일)

🔎 예시

=DATEDIF("2020-01-01", "2024-05-22", "Y")   → 결과: 4  
=DATEDIF("2020-01-01", "2024-05-22", "M")   → 결과: 52  
=DATEDIF("2020-01-01", "2024-05-22", "D")   → 결과: 1603  

⚠️ 주의사항

  • start_date가 end_date보다 나중이면 오류 발생합니다.
  • 함수 입력 시 자동 완성이 안 되므로 직접 정확히 입력해야 합니다.
  • 날짜는 셀 참조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A1, B1 등).

엑셀에서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DATEDIF 함수를 사용하면 매우 간단합니다.


✅ 기본 나이 계산 공식

=DATEDIF(생년월일, 오늘날짜, "Y")

예를 들어:

=DATEDIF("1990-05-22", TODAY(), "Y")

오늘 기준으로 만 나이를 계산합니다.
(TODAY() 함수는 현재 날짜를 반환)


✅ 셀 참조로 계산하는 경우

만약 생년월일이 A2 셀에 있다면:

=DATEDIF(A2, TODAY(), "Y")

💡 나이 + 개월수까지 보고 싶다면?

=DATEDIF(A2, TODAY(), "Y") & "세 " & DATEDIF(A2, TODAY(), "YM") & "개월"

예: 34세 3개월


⚠️ 주의사항

  • 생년월일이 미래일 경우 오류가 납니다.
  • "Y"는 만 나이 기준입니다. (우리나이와 다름)

엑셀에서 **우리나이(한국식 나이)**를 계산하려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면 됩니다.


✅ 우리나이 공식

=YEAR(TODAY()) - YEAR(생년월일) + 1

예를 들어, 생년월일이 A2 셀에 있다면:

=YEAR(TODAY()) - YEAR(A2) + 1

🔍 원리

  • YEAR(TODAY()): 올해 연도 (예: 2025년이면 2025)
  • YEAR(A2): 태어난 연도
  • 거기에 +1을 더해 우리나라 방식(태어난 해부터 1살 시작)에 맞춥니다.

🎯 예시

  • 생년월일: 1990-05-22
  • 오늘: 2025-05-22

공식:

=YEAR(TODAY()) - 1990 + 1 = 2025 - 1990 + 1 = 36

우리나이: 36세


⚠️ 주의사항

  • 2023년부터 한국은 "만 나이"를 공식 나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상에서 여전히 우리나이 개념이 쓰이므로 참고용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 윤년이나 생일 전후 여부는 고려하지 않고 단순 연도 기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