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엑셀 함수 및 예제 INT, CEILING, FLOOR 함수

joy-taei 2025. 6. 27. 10:40
반응형

 

1. INT

역할: 숫자를 가장 가까운 **작은 정수(내림)**로 변환
기본 구조:

=INT(숫자)

예제:

입력값 함수식 결과

3.9 =INT(3.9) 3
-3.9 =INT(-3.9) -4

2. CEILING

역할: 숫자를 지정한 배수의 **가장 가까운 큰 수(올림)**로 반올림
기본 구조:

=CEILING(숫자, 배수)

예제:

입력값 함수식 결과

3.2 =CEILING(3.2, 1) 4
3.2 =CEILING(3.2, 0.5) 3.5
-3.2 =CEILING(-3.2, 1) -3

※ 음수일 경우에도 올림은 절댓값 기준으로 큰 수로 감


3. FLOOR

역할: 숫자를 지정한 배수의 **가장 가까운 작은 수(내림)**로 반올림
기본 구조:

=FLOOR(숫자, 배수)

예제:

입력값 함수식 결과

3.7 =FLOOR(3.7, 1) 3
3.7 =FLOOR(3.7, 0.5) 3.5
-3.7 =FLOOR(-3.7, 1) -4

 INT, CEILING, FLOOR 함수의 차이를 실감할 수 있도록 하나의 숫자열을 기준으로 세 함수의 결과를 비교하는 예제표와 함께 자세한 설명을 드릴게요.


 예제 데이터

기준 숫자: 3.7, -3.7
배수(올림/내림 기준): 1, 0.5


 함수별 계산 결과

숫자 함수식 결과 설명

3.7 =INT(3.7) 3 정수 중 가장 작은 수로 내림
  =CEILING(3.7, 1) 4 1의 배수 중 가장 가까운 큰 수로 올림
  =CEILING(3.7, 0.5) 4.0 0.5 배수 기준 3.5보다 큰 수인 4로 올림
  =FLOOR(3.7, 1) 3 1의 배수 중 작은 수로 내림
  =FLOOR(3.7, 0.5) 3.5 0.5 배수 기준 3.5 이하 가장 큰 값
-3.7 =INT(-3.7) -4 정수 중 가장 작은 수(즉, 더 음수 쪽)
  =CEILING(-3.7, 1) -3 절댓값 기준 작은 쪽으로 반올림 (즉, 덜 음수)
  =CEILING(-3.7, 0.5) -3.5 -3.7보다 큰 수 중 0.5 배수
  =FLOOR(-3.7, 1) -4 더 작은 수 쪽의 1 배수 (즉, 더 음수)
  =FLOOR(-3.7, 0.5) -4.0 0.5 배수 기준 -3.7 이하 가장 가까운 수

상세 설명

1. INT(숫자)

  • 무조건 소수점 아래 버림
  • 양수: 3.7 → 3
  • 음수: -3.7 → -4 (음수는 더 작은 쪽으로 감)

2. CEILING(숫자, 배수)

  • 지정한 배수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큰 수로 반올림
  • 양수는 올림 방향, 음수도 절댓값 기준으로 올림
  • 예: =CEILING(3.7, 1) → 4 / =CEILING(-3.7, 1) → -3

3. FLOOR(숫자, 배수)

  • 지정한 배수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작은 수로 반올림
  • 양수는 내림 방향, 음수도 절댓값 기준으로 내림
  • 예: =FLOOR(3.7, 1) → 3 / =FLOOR(-3.7, 1) → -4

⚠️ TIP: INT vs FLOOR 차이점

  • INT(숫자)는 무조건 정수로 내림 (배수 없음)
  • FLOOR(숫자, 배수)는 지정한 배수로 내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