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함수 및 예제

엑셀 함수 및 예제 INT, DAVERAGE 함수

joy-taei 2025. 6. 26. 11:09
반응형

 

 

1. 함수명: INT

  1. 역할: 숫자를 내림하여 정수로 변환합니다.
    (소수점 이하는 버리고 정수만 반환)
  2. 기본 구조:
=INT(숫자)
  1. 예제:

A열

10.9
-5.7

수식 결과

=INT(A1) 10
=INT(A2) -6

2. 함수명: DAVERAGE

  1. 역할: 조건에 맞는 데이터베이스 필드의 평균을 구합니다.
  2. 기본 구조:
=DAVERAGE(데이터범위, "필드명", 조건범위)
  1. 예제:

제품 수량 가격

A 10 1,000
B 15 2,000
A 20 1,500

조건

제품=A

수식 결과

=DAVERAGE(A1:C4, "가격", E1:E2) (조건: 제품=A) 1,250

→ 조건을 만족하는 A 제품의 평균 가격 (1,000 + 1,500) ÷ 2 = 1,250


미래전략 부서의 평균 수당을 구하고, 내림하여 정수로 만드는 방법 을 DAVERAGE함수 +INT` 함수로 하나씩 천천히 설명드릴게요.


 1단계. 데이터 구성

먼저,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A열 B열 C열

부서명 이름 수당(원)
미래전략부 홍길동 10,250
미래전략부 김철수 10,890
영업부 이영희 9,900
미래전략부 박지민 11,020
  • 데이터 범위: A1:C5 (1행은 제목, 2~5행은 실제 값)
  • 목표: "미래전략부" 직원들의 수당(원) 평균을 구하고, 이를 내림하여 정수로 계산

2단계. 조건 만들기

DAVERAGE 함수는 "조건"을 따로 지정해줘야 합니다.

E열

부서명
미래전략부
  • 이 범위 E1:E2가 "조건 영역"입니다.
  • 즉, 부서명이 "미래전략부"인 행만 평균에 포함하겠다는 뜻입니다.

3단계. DAVERAGE 함수로 평균 구하기

=DAVERAGE(A1:C5, "수당(원)", E1:E2)
  • A1:C5: 전체 데이터베이스 범위
  • "수당(원)": 평균을 구할 열 이름 (C열)
  • E1:E2: 조건범위 → 부서명 = 미래전략부

이 수식의 결과는 (10,250 + 10,890 + 11,020) ÷ 3 = 10,720


 4단계. INT 함수로 내림 처리

=INT(DAVERAGE(A1:C5, "수당(원)", E1:E2))
  • DAVERAGE(...)가 계산한 결과는 10,720
  • INT(...)는 소수점이 있을 경우 버림(내림) 처리 → 이 경우 정수라 변화 없음
    (예: INT(10720.88) = 10720)

최종 결과

=INT(DAVERAGE(A1:C5, "수당(원)", E1:E2))
👉 결과: 10,720


요약 정리

함수 기능

DAVERAGE 조건에 맞는 평균 구하기
INT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내림 처리

 


추가 팁

  • 만약 수당이 10,720.9원처럼 소수점이 있다면 INT 함수로 10,720원으로 처리됩니다.
  • 반대로 소수점까지 반올림하고 싶다면 ROUND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