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86

엑셀에서 실전 검색창 만들기! FILTER 함수 사용

엑셀에서 실전 검색창 만들기!스크롤 없이 바로 찾는 스마트한 방법오늘은 엑셀로 ‘실시간 검색창’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해요.✔️ 기존 방식의 한계점엑셀에서 조건부 서식으로 특정 단어가 포함된 셀을 색으로 표시하는 기능, 많이들 쓰시죠?하지만 문제는...색으로만 표시되기 때문에많은 데이터가 있을 경우일일이 스크롤하며 눈으로 찾아야 한다는 점!이게 생각보다 너무 불편합니다.✔️ 그래서 준비한 스마트한 방법FILTER 함수를 활용하면 원하는 조건만 출력되기 때문에스크롤 없이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기본 검색창 만들기✅ 함수 구조:=FILTER(전체범위, 조건, 조건 없을 때 출력값)✅ 예시 함수:=FILTER(C2:H83, C2:C83=K2, "검색 결과 없음")C3:H83: 출력할 전체 데이터..

엑셀 자동 순번 매기기 (SEQUENCE + COUNTA 함수 활용)

엑셀 자동 순번 매기기 (SEQUENCE + COUNTA 함수 활용)안녕하세요!오늘은 목록별, 항목별 자동 순번을 매기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매물 정리나 문의 리스트를 작성할 때 아주 유용합니다.❗ 이런 경험 있으시죠?번호를 하나씩 일일이 입력하거나자동 채우기를 했다가중간에 수정되면 다시 번호를 바꿔야 하는 불편함! Step 1. SEQUENCE 함수📌 역할: 자동으로 숫자를 연속 생성합니다.🧩 기본형식:=SEQUENCE(행 수, 열 수, 시작값, 증가값)시작값과 증가값을 생략하면 기본값 1부터 1씩 증가합니다. Step 2. COUNTA 함수📌 역할: 특정 범위에서 값이 있는 셀의 개수를 셉니다.🧩 기본형식:=COUNTA(범위)예: =COUNTA(A2:A100) → A2부터 A100까지 비어있..

엑셀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FILTER함수)

엑셀 FILTER 함수 완전정복!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 (단계별 설명)엑셀 작업 중"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따로 정리하고 싶다!"이런 상황 자주 있으시죠?예전처럼 정렬하고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는 방식은시간도 오래 걸리고 실수하기 쉽습니다.이럴 때 아주 유용한 함수가 바로 FILTER 함수입니다. FILTER 함수란?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자동으로 추출해주는 함수입니다.한 번 설정만 해두면, 데이터가 바뀌어도 결과는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기본 구조=FILTER(전체범위, 조건범위=조건, 조건에 맞는 데이터가 없을 때 출력할 값) 단계별로 FILTER 함수 사용하기1️⃣ 원본 데이터 준비예시로 아래와 같은 차량 정보를 정리한 표가 있다고 가정해볼게요.번호 차종 색상 가격1SU..

엑셀 빈셀에 같은 내용 한번에 채우는 꿀팁! (마우스 없이 핸들링 아님)

엑셀 빈셀에 같은 내용 한번에 채우는 꿀팁! (마우스 없이 핸들링 아님)안녕하세요!엑셀을 자주 사용하다 보면, 빈 셀에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채워야 할 일이 자주 생깁니다.예를 들어 고객명이나 항목명을 입력해야 하는데이걸 일일이 마우스로 복사하고 붙여넣고... 너무 번거롭죠?게다가 실수로 옆에 숫자 데이터까지 같이 변하면 대참사 🥲 그래서 준비했습니다!마우스 핸들링 없이!! 복사 붙여넣기 아니고!!빈 셀에 원하는 내용을 한 번에 채우는 방법! STEP 1. 범위 선택 & 단축키 Ctrl + G먼저 내용을 채우고 싶은 범위를 선택한 후키보드에서 Ctrl + G를 눌러 [이동] 창을 열어주세요!STEP 2. [옵션] 클릭 → [빈 셀] 선택이동 창이 열리면▶ 옵션 클릭▶ 빈 셀 항목을 선택▶ 확인 누르기!..

여러 사람에게 받은 데이터를 한 번에 통합하는 방법

💡 엑셀 실무 꿀팁!여러 사람에게 받은 데이터를 한 번에 통합하는 방법안녕하세요 :)오늘은 **엑셀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 통합 기능"**을 소개드릴게요.여러 사람에게 받은 데이터를 하나로 합치는 방법,생각보다 정말 간단합니다. 이런 상황, 있으셨죠?직원들이 각자 작성한 매출 데이터를 모아야 할 때같은 양식으로 작성된 자료를 한눈에 보고 싶을 때표 안의 값들을 자동으로 합산하고 싶을 때이럴 땐 엑셀의 "데이터 통합" 기능이 정말 유용합니다. STEP 1. 빈셀 선택 → 데이터 통합 클릭통합된 데이터를 출력할 위치에 빈셀을 클릭합니다.상단 메뉴에서  ▶ 데이터 → 통합을 선택합니다.단축키는 Alt + A + 2 + N  (조금 애매하지만 익숙해지면 편해요 😅) STEP 2. 참조 추가팝업창에서..

엑셀에서 특정 셀을 기준으로 행과 열을 이동한 위치의 셀 또는 범위를 반환 하는 OFFSET 함수

OFFSET 함수는 엑셀에서 특정 셀을 기준으로 행과 열을 이동한 위치의 셀 또는 범위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동적으로 범위를 지정할 때 자주 사용되며, 특히 차트 데이터 범위 자동 확장이나 동적 범위 정의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OFFSET 함수 기본 구조OFFSET(기준셀, 행, 열, [높이], [너비])인수 설명기준셀시작 기준이 되는 셀입니다.행기준셀에서 이동할 행의 수. 양수는 아래, 음수는 위로 이동합니다.열기준셀에서 이동할 열의 수. 양수는 오른쪽, 음수는 왼쪽으로 이동합니다.높이 (선택)반환할 범위의 행 개수 (기본값: 1)너비 (선택)반환할 범위의 열 개수 (기본값: 1) 예제 1: 단일 셀 참조=OFFSET(A1, 2, 1)기준: A12행 아래 → A31열 오른쪽 → B3📌 결과: B3 ..

엑셀 드롭다운 목록에서 자동으로 정보 불러오는 방법 (VLOOKUP 함수)

엑셀 드롭다운 목록에서 자동으로 정보 불러오는 방법 (VLOOKUP 함수)엑셀을 하다 보면 드롭다운 목록 상자를 만들어두고,그 목록을 선택했을 때 **해당하는 다른 정보들(주소, 연락처, 구매내역 등)**이 자동으로 뜨게 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이런 상황이죠.“고객 이름은 드롭다운으로 선택했는데,옆에 주소나 구매 물품은 왜 안 따라오죠?”이럴 때 그냥 표로 찾는 게 더 빠를 수도 있겠지만,한 번만 세팅해두면 클릭 한 번으로 모든 정보가 자동으로 나오는매우 편리한 방법이 있습니다.바로 VLOOKUP 함수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VLOOKUP 함수란?VLOOKUP(조건, 범위, 열 번호, 정확도)이런 구조로 사용되며,왼쪽 기준을 잡고 오른쪽 데이터를 가져오는 함수입니다.실전 예시: 고객 이름 선..

엑셀 실시간 검색창 만들기 (조건부 서식만으로 간단하게!)

엑셀 실시간 검색창 만들기 (조건부 서식만으로 간단하게!)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특정 데이터를 빠르게 찾고 싶을 때가 많습니다.보통은 Ctrl + F 기능으로 검색하지만…👉 매번 찾기창을 열고 닫는 반복👉 검색된 셀이 눈에 잘 띄지 않음👉 작업 흐름이 끊기는 불편함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간 검색창을 만들어볼게요.복잡한 함수 없이! 조건부 서식만으로!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STEP 1. 검색창 만들기먼저, 보기 편한 위치의 빈 셀 하나를 선택해서검색창 또는 원하는 이름을 적어주세요.STEP 2. 검색 대상 셀 전체 선택이제 검색할 데이터 셀 범위 전체를 선택합니다.(예: A2:D100 등, 제목 행은 제외!)[홈] 탭 → [조건부 서식] → [새 규칙] 클릭 STEP 3. 수식 입력..

엑셀 함수 및 예제 IF, TEXT, &, CONCAT 함수

엑셀에서 자주 사용하는 함수들인 IF, TEXT, &, CONCAT에 대해 각각 설명드릴게요. 예제도 함께 포함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1. IF 함수● 역할조건이 참일 때와 거짓일 때 각각 다른 값을 반환하는 조건문 함수입니다.● 형식=IF(조건, 참일 때 값, 거짓일 때 값)● 예제=IF(A1>=90, "합격", "불합격")→ A1 셀의 값이 90 이상이면 “합격”, 아니면 “불합격” 반환2. TEXT 함수● 역할숫자나 날짜를 지정한 형식의 텍스트로 변환합니다.● 형식=TEXT(값, "형식")● 예제=TEXT(TODAY(), "yyyy-mm-dd")→ 오늘 날짜를 "2025-07-12"와 같은 형식으로 표시=TEXT(1234.56, "#,##0.00")→ 결과: "1,234.56"3..

엑셀 YEAR 함수와 & 연산자를 TEXT 함수와 함께 활용 하기

엑셀에서 YEAR 함수와 & 연산자는 날짜 처리와 문자열 결합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각각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1. YEAR 함수● 기능YEAR 함수는 날짜에서 연도(Year)만 추출하는 함수입니다.● 사용법=YEAR(날짜)● 예시A열 (날짜) B열 (공식) 결과2025-07-11=YEAR(A1)20252010-01-05=YEAR(A2)2010👉 주의: 입력값은 날짜 형식이거나 DATE() 함수로 생성된 값이어야 합니다. 2. & 연산자● 기능& 연산자는 문자열(텍스트)을 연결(Concatenate) 합니다.● 사용법=텍스트1 & 텍스트2 & ...● 예시A열 B열 C열 (공식) 결과김철수=A1 & B1김철수2025-07-11 "오늘은 " & A1오늘은 2025-07-112025-07-11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