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함수 및 예제

엑셀 함수 및 예제 CEILING ,FLOOR 함수

joy-taei 2025. 5. 31. 10:27
반응형

엑셀의 CEILING 함수와 FLOOR 함수는 숫자를 특정 배수로 올림하거나 내림할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각각의 사용법과 예제를 아래에 정리해 드릴게요.


✅ 1. CEILING 함수

🔹 기능

지정한 배수의 **가까운 큰 수(올림)**로 숫자를 반올림합니다.

🔹 구문

=CEILING(number, significance)
  • number: 올림할 숫자
  • significance: 올림할 기준 배수

🔹 예제

A B 수식 결과

12.3 0.5 =CEILING(A1, B1) 12.5
-12.3 -1 =CEILING(A2, B2) -12
7 4 =CEILING(A3, B3) 8

✅ 2. FLOOR 함수

🔹 기능

지정한 배수의 **가까운 작은 수(내림)**로 숫자를 반올림합니다.

🔹 구문

=FLOOR(number, significance)
  • number: 내림할 숫자
  • significance: 내림할 기준 배수

🔹 예제

A B 수식 결과

12.3 0.5 =FLOOR(A1, B1) 12.0
-12.3 -1 =FLOOR(A2, B2) -13
7 4 =FLOOR(A3, B3) 4

📝 참고 사항

  • Excel 2010 이후 버전에서는 CEILING.MATH, FLOOR.MATH 함수도 제공되어 방향 제어가 더 유연합니다.
  • 부호(양수/음수)에 따라 동작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부호에 주의해야 합니다.

초과근무 시간을 CEILING 함수를 활용해 30분 단위로 올림 계산하고, 시급을 곱해서 초과근무 수당을 구하는 방식을 엑셀에서 어떻게 구성하는지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 목표

  • 직원들의 퇴근 시간이 기록된 상황에서,
  • 정해진 퇴근 시간 이후로 일한 시간을 계산하고,
  • 30분 단위로 올림 처리해서,
  • 시간당 10,000원 기준으로 초과근무 수당을 계산합니다.

📊 1. 엑셀 데이터 구조

A열 (퇴근 시간) B열 (정규 퇴근) C열 (초과시간) D열 (올림시간) E열 (수당)

19:20 18:00 =A2 - B2 =CEILING(C2*24, 0.5) =D2 * 10000

📌 각 열의 역할과 수식 설명

🔹 A열: 퇴근 시간

  • 직원이 실제로 퇴근한 시간 (시간 형식, 예: 19:20)
  • 직접 입력합니다.

🔹 B열: 기준 퇴근 시간

  • 회사에서 정한 정규 퇴근 시간 (예: 18:00)
  • 모든 직원에게 동일하게 설정

🔹 C열: 초과 근무 시간

=A2 - B2
  • 시간끼리 뺄셈 → TIME 형식으로 결과 나옴 (예: 1:20)
  • 1시간 20분을 의미합니다.

🔹 D열: 반올림된 초과시간 (단위: 시간)

=CEILING(C2*24, 0.5)
  • C2는 시간 형식 → 이를 *24 하면 **소수로 된 "시간"**이 됩니다.
    • 예: 1:20 → 1.333...
  • CEILING(..., 0.5)는 0.5 단위(30분 단위)로 올림합니다.
    • 1.333 → 1.5
  • 즉, 1시간 20분은 1.5시간으로 처리

🔹 E열: 초과근무 수당

=D2 * 10000
  • 시급 10,000원을 곱하여 초과근무 수당 계산

🧾 예시 값으로 시뮬레이션

퇴근 시간 정규 퇴근 초과시간 올림 시간 수당 (원)

19:20 18:00 1:20 1.5 15,000
20:10 18:00 2:10 2.5 25,000
18:05 18:00 0:05 0.5 5,000
19:50 18:00 1:50 2.0 20,000

🧠 팁

  • 초과근무 시간을 **0.25 단위 (15분 단위)**로 반올림하고 싶다면 CEILING(C2*24, 0.25)로 변경하면 됩니다.
  • 내림하고 싶다면 FLOOR(C2*24, 0.5)를 사용하면 됩니다.
  • 시간이 자정(00:00)을 넘는 경우는 별도로 처리해야 합니다 (IF, MOD, TEXT 함수 활용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