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의 ROUNDDOWN 함수와 TRUNC 함수는 숫자의 소수점 이하를 잘라내는 데 사용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 각각에 대해 설명과 예제를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
✅ 1. ROUNDDOWN 함수
📌 정의
ROUNDDOWN(number, num_digits)
숫자를 소수점 아래 또는 특정 자릿수에서 무조건 내림하는 함수입니다.
- number: 반올림할 숫자
- num_digits:
- 양수 → 소수점 아래 자리 수
- 0 → 정수로 내림
- 음수 → 정수의 자릿수 내림
📘 예제
수식 설명 결과
=ROUNDDOWN(3.78, 1) | 소수 첫째자리에서 내림 (0.1 단위) | 3.7 |
=ROUNDDOWN(1234.567, 0) | 정수로 내림 | 1234 |
=ROUNDDOWN(1234.567, -2) | 백의 자리까지 내림 | 1200 |
=ROUNDDOWN(-3.78, 1) | 음수여도 무조건 내림 (더 작은 값) | -3.7 |
✅ 2. TRUNC 함수
📌 정의
TRUNC(number, [num_digits])
숫자의 소수점 이하를 잘라내어 버리는 함수입니다.
- number: 잘라낼 숫자
- num_digits:
- 생략 시 → 정수만 남기고 자름 (0과 같음)
- 양수 → 지정한 소수점 이하 자릿수까지 자름
- 음수 → 정수 부분의 자릿수 자름 (백의 자리 등)
※ 내림과 유사하지만, 단순히 소수점 아래를 버립니다 (음수 처리 방식이 다름)
📘 예제
수식 설명 결과
=TRUNC(3.78, 1) | 소수 첫째자리까지 유지 | 3.7 |
=TRUNC(1234.567) | 소수점 이하 모두 제거 | 1234 |
=TRUNC(1234.567, -2) | 백의 자리에서 절삭 | 1200 |
=TRUNC(-3.78, 1) | 음수는 절삭 (내림 아님) | -3.7 |
✅ 차이점 요약
항목 ROUNDDOWN TRUNC
기본 동작 | 무조건 내림 | 소수점 이하 절삭 |
음수 처리 | 더 작은 쪽으로 감 | 그냥 자름 |
소수점 이하 지정 | 가능 | 가능 |
음수 num_digits 지원 | 가능 | 가능 (엑셀 최신 버전 기준) |
🎯 예제 비교
수식 ROUNDDOWN 결과 TRUNC 결과 설명
-3.78 에서 소수 첫째 자리까지 | -3.7 | -3.7 | 동일 |
-3.78 에서 정수로 | -3 | -3 | 동일 |
-3.78 에서 소수 둘째 자리까지 | -3.78 | -3.78 | 동일 |
=ROUNDDOWN(-123.45, -2) | -100 | -100 | 동일 |
=TRUNC(-123.45, -2) | -100 | -100 | 동일 |
=ROUNDDOWN(-5.9, 0) | -5 | -5 | 동일 |
=INT(-5.9) (참고) | -6 | -6 | INT는 더 작은 정수로 내림 |
ROUNDDOWN과 TRUNC 함수는 다른 함수들과 결합해서 숫자를 정제하거나, 특정 조건에 맞는 계산을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아래에 실용적인 예제들을 함수 조합과 함께 설명해드릴게요.
✅ 예제 1: 나눗셈 결과를 정수로 내림 (인원 분배)
예: 73명의 학생을 한 조당 최대 8명으로 나눌 때, 몇 개 조가 필요한지 계산
(반올림 없이 내림으로 조 개수 계산)
수식
=ROUNDDOWN(73 / 8, 0)
결과
9.125 → 9
한 조에 8명씩 배치하면 9조가 필요하다는 뜻 (남는 학생은 마지막 조에 배정)
✅ 예제 2: 금액 단위 내림 정리 (예산 관리)
예: 금액 =152,765원을 천 원 단위로 내림 정리
수식
=ROUNDDOWN(152765, -3)
결과
152000
천 원 단위로 깔끔하게 정리됨.
✅ 예제 3: 소수점 제거 후 조건 비교 (IF와 결합)
예: 학생 점수가 79.8인데, 정수 기준으로 70 이상이면 "합격", 아니면 "불합격" 처리
수식
=IF(TRUNC(79.8) >= 70, "합격", "불합격")
결과
TRUNC(79.8) → 79 → "합격"
✅ 예제 4: 평균값을 계산한 뒤 특정 자리까지 내림
예: A1:A5 셀의 평균 점수를 소수 첫째 자리까지 내림
수식
=ROUNDDOWN(AVERAGE(A1:A5), 1)
예: 평균이 83.79 → 83.7
✅ 예제 5: TRUNC로 생년월일에서 '년'만 추출
예: 생년월일 1987.05.23 이라고 입력된 셀(A1)에서 "1987"만 뽑고 싶을 때
(숫자 형식이어야 함. 날짜형이 아니라 1987.0523 형식이라면 적용 가능)
수식
=TRUNC(A1)
예: 1987.0523 → 1987
✅ 예제 6: TEXT 함수와 결합해 포맷 지정
예: 83.978점을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내림한 후 "83.9점" 형태로 표시
수식
=TEXT(ROUNDDOWN(83.978, 1), "0.0") & "점"
결과
83.9점
✅ 예제 7: 숫자를 TRUNC로 버림한 후 등급 부여
예: 점수 89.9 → TRUNC로 정수로 변환 후 등급 판단
- 90 이상: A
- 80 이상: B
- 70 이상: C
- 그 외: F
수식
=IF(TRUNC(A1) >= 90, "A", IF(TRUNC(A1) >= 80, "B", IF(TRUNC(A1) >= 70, "C", "F")))
입력 예
A1 = 89.9 → TRUNC(A1) = 89 → "B"
필요하시면 위 예제를 실습할 수 있는 엑셀 파일로 만들어드릴 수도 있습니다.
원하시는 기능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엑셀 함수 및 예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함수 및 예제 CEILING ,FLOOR 함수 (0) | 2025.05.31 |
---|---|
엑셀 함수 및 예제 DAY, MONTH, YEAR 함수 (0) | 2025.05.30 |
엑셀 함수 및 예제 UPPER, LOWER, PROPER 함수 (1) | 2025.05.28 |
엑셀 함수 및 예제 LEN 함수와 SUBSTITUTE 함수 (3) | 2025.05.27 |
엑셀 함수 및 예제 XLOOKUP 함수 (0) | 2025.05.26 |